즐겨찾기추가 시작페이지로
Toronto
+16...+20° C
로그인 회원가입 회원찾기 미니홈업체
회원로그인 회원로그인
한인행사일정
633
토론토이벤트
362
로컬플라이어
4,350
여행정보
134
건강칼럼
221
미용.패션
163
물리치료
7
알뜰정보
365
부동산정보
247
자동차정보
250
Fitness
68
톡톡노하우
22
업체갤러리
23
이슈
340
더보기
현재접속자
MissyCanada   커뮤니티   자동차정보   상세보기  
자동차 이야기~
신고하기
제목  연방 정부, 전기차 리베이트 프로그램 부활 예고 2025-06-20 11:36:20
작성인
  root
조회 : 124   추천: 9
Email
 

예산 소진으로 중단된 iZEV, 다시 도입될 예정… 자동차 업계·야당 반발 지속


 

연방 정부가 전기차(EV) 구매 리베이트 프로그램을 다시 도입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시행 시점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줄리 다브루신(Julie Dabrusin) 환경부 장관은 최근 CBC와의 인터뷰에서, 시민들이 전기차를 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리베이트 제도를 부활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프로그램 재시행 배경

문제의 프로그램은 '무공해 차량 인센티브(iZEV)'로, 2019년 처음 시행됐다.

하지만 2024년 초 예산이 조기 소진되면서 프로그램은 현재 중단된 상태이다.

 

다브루신 장관은 새로운 프로그램이 기존 iZEV 명칭을 유지할지 여부는 아직 미정이라며, 세부 사항은 추후 공개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EV 의무화 정책은 유지

장관은 2035년까지 캐나다에서 판매되는 모든 경차는 무공해 차량이어야 한다는 EV 의무화 정책도 언급하며, 이 정책이 "변경될 계획은 없다"고 못 박았다.

 

"이 정책은 2023년부터 시행되어 왔습니다. 미국 관세 문제를 이유로 보수당이 정책을 바꾸자고 주장하는 이유를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 줄리 다브루신 환경부 장관

 

자동차 업계·보수당 반발… "리베이트 없이 판매 어렵다"

한편, 보수당은 EV 의무화 정책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미국의 전기차 관세 부과가 캐나다 자동차 산업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에서, 리베이트 없이 의무화만 남겨두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주장이다.

 

보수당은 화요일, "휘발유 차량 판매 금지" 정책을 즉각 철회하라는 안건을 의회에 제출하기도 했다.

 

업계 역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캐나다 자동차 제조사들은 보조금이 종료될 경우 EV 판매가 급감할 것이라며, 의무화 정책을 재고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EV 판매 급감… 통계로 확인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신차 중 EV 비율은 8.1%로, 2024년 4분기(16.5%) 대비 절반 가까이 감소한 수치를 기록했다.

 

관세·수요 감소 여파… 해고와 프로젝트 연기 이어져

미국의 전기차 관세로 인해 캐나다 내 자동차 공장에도 영향이 가시화되고 있다.

 

GM은 오샤와 조립공장에서 관세 부담을 이유로 750명 해고, 온타리오 잉거솔 공장도 생산 중단, 다만 이유는 관세보다 '수요 감소', 혼다는 온타리오 전기차 공장 프로젝트(150억 달러 규모)를 2년 연기등 이처럼 리베이트 중단, EV 수요 둔화, 관세 압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캐나다 자동차 산업은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향후 전망

전기차 리베이트 프로그램의 부활 여부는 캐나다의 탄소중립 정책, 산업계의 수용성, 미국과의 무역 환경 변화에 따라 앞으로 큰 변화를 맞이할 가능성이 있다.

 

정부는 조만간 새로운 리베이트 프로그램의 시행 시기와 상세 조건을 공식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시럽 글을 번역,편집한 것입니다.

추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