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시작페이지로
Toronto
+16...+20° C
로그인 회원가입 회원찾기 미니홈업체
회원로그인 회원로그인
미시톡
302
생활QA
121
음식이야기
113
종교
262
영화.음악
365
웃음충전
29
포토갤러리
67
골프
95
미니홈피용갤러리
46
더보기
현재접속자
MissyCanada   커뮤니티   생활QA   상세보기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신고하기
제목  임대 vs. 소유, 지금 당신에게 더 현명한 선택은? 2025-11-07 15:08:50
작성인
  root 카카오톡 공유버튼
조회 : 104   추천: 11
Email
 


 

한때 ‘내 집 마련’은 재정적 성공의 상징이었다. 그러나 2025년 현재, 많은 캐나다인에게 주택 소유는 점점 더 멀어진 꿈이 되고 있다.

높은 금리, 끝없는 집값 상승, 까다로운 대출 조건 속에서 “사는 게 나을까, 빌리는 게 나을까”라는 질문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캐나다인의 절반 이상이 “앞으로도 당분간은 임대를 유지하겠다”고 답했다.

그 이유는 단순하다. 지금은 ‘소유의 시대’가 아니라 ‘유연성의 시대’이기 때문이다.

 

임대를 유지하는 것이 현명할 때

1.이동성과 자유 — “언제든 옮길 수 있다”는 게 최대 장점

임대의 가장 큰 매력은 ‘발이 묶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새로운 도시로 이직하거나, 가족 사정으로 이사해야 할 때 집을 팔 필요도, 매매 계약을 기다릴 필요도 없다.

특히 토론토나 밴쿠버처럼 시장 변동성이 큰 지역에서는, 임대가 ‘유연성 보험’ 역할을 해준다.

 

2.초기비용이 적고, 유지비 부담이 없다

CMHC(캐나다 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평균적인 캐나다 주택 구매자는 계약금을 모으는 데 약 4.2년이 걸린다.

집을 사려면 최소 4만 달러 이상의 계약금이 필요하지만, 임대는 첫 달 월세와 보증금만 준비하면 된다.

게다가 보일러, 지붕, 수도, 전기 등 수리비 부담도 모두 집주인의 몫이다.

 

3.현금 유동성 확보 — ‘집’ 대신 ‘투자’를 선택하는 전략

주택 구입에 묶일 자금을 주식, RRSP, 또는 TFSAs 등에 분산 투자하면, 더 빠르게 수익을 낼 수 있다.

즉, “집이 아닌 돈이 돈을 버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임대의 그늘도 있다

1.자산이 쌓이지 않는다 — ‘남의 대출을 갚는 셈’

임대료는 매달 나가지만 자산으로 남지 않는다.

반면 주택담보대출을 갚는 집주인은, 시간이 지날수록 ‘본인 명의의 자산’을 쌓게 된다.

10~20년 뒤를 내다보면, 임차인은 여전히 월세를 내야 하지만 주택 소유자는 ‘무이자 자산’을 가진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이다.

 

2.임대료 인상과 불안정한 거주권

온타리오의 임대료 인상 상한은 2026년 기준 2.1%이지만, 집주인이 세입자를 내보내고 새 계약을 체결하면 시세대로 재조정이 가능하다.

특히 ‘리노베이션을 이유로 한 퇴거(이른바 renoviction)’는 여전히 임차인의 큰 리스크로 꼽힌다.

 

3.맞춤 생활의 한계 — 내 집처럼 꾸미기 어렵다

벽 칠하기, 욕실 리모델링, 정원 가꾸기 등은 대부분 금지되어 있다.

반면 주택 소유자는 리노베이션을 통해 부동산 가치까지 높일 수 있다.

 

전문가의 조언: 지금은 ‘하이브리드 전략’이 필요할 때

부동산 전문가들은 “임대냐, 구매냐의 이분법보다 재정상황과 목표에 맞는 ‘하이브리드 전략’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단기(1~3년): 임대를 유지하며 예금·투자를 통한 자산 기반을 다지고,

중기(3~5년): 첫 주택 구입을 위한 계약금 목표를 세우고,

장기(5년 이상): 집값 조정기에 맞춰 실거주용 소형주택이나 콘도를 매입하는 방식이다.

 

결론: 지금 나에게 맞는 선택을 하자

이직이 잦거나 불확실한 직장 환경 → 임대가 유리하다.

안정된 소득과 장기 거주 계획 → 구매가 자산 형성에 도움이 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남들이 사니까”가 아니라, 내 재정 구조와 인생 계획에 맞는 선택을 하는 것이다.

 

 

*CTV뉴스 글을 번역,편집한 것입니다.

추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