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시작페이지로
Toronto
+16...+20° C
로그인 회원가입 회원찾기 미니홈업체
회원로그인 회원로그인
정치
1,505
IT.과학
518
사회
684
경제
2,994
세계
328
생활.문화
301
연예가소식
789
전문가칼럼
453
HOT뉴스
3,368
더보기
현재접속자
MissyCanada   캐나다 뉴스   경제   상세보기  
경제 게시판입니다.
제목  노후 공공임대주택 재건축 본격 추진… 2030년까지 2만3000가구 착공 2025-10-12 10:18:42
작성인
 조명의 기자 카카오톡 공유버튼
조회 : 42   추천: 5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ㆍ이하 국토부)는 `9ㆍ7 부동산 대책` 일환으로 노후 공공임대 재건축 2만3000가구의 착공을 본격 추진한다고 이달 1일 밝혔다.

앞서 정부는 9ㆍ7 부동산 대책을 통해 서울 주요 지역에 위치한 준공 30년 이상 된 노후 영구임대 등 공공임대주택을 최대 용적률 500%까지 상향해 고밀도로 전면 재건축해 2030년까지 2만3000가구를 공급한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30년 이상 경과된 노후 공공임대주택은 수도권에만 8만6000가구이며, 10년 후에는 16만9000가구로 2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사업은 이미 지난해 승인을 받은 하계5ㆍ상계마들 2개 단지부터 시작한다. 2026년 초 총 1699가구 규모로 착공되며, 빠르면 2029년 입주가 가능할 전망이다. 이어 단지별 이주 대책 마련 후 2028년 중계1단지, 2029년 가양7단지, 2030년 수서ㆍ번동2단지 등에서 순차적으로 착공할 예정이다.

신규 공공분양 주택 공급은 중계1단지부터 2028년 분양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다른 단지에서도 사회적 수요에 따라 사업계획 수립 과정에서 공공분양주택을 반영한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원주민 이주 대책은 재건축 단지 주변의 기존 공공임대주택의 공가를 활용하거나, 신규 매입임대의 물량 일부를 임시 이주주택으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마련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주택사업자가 보유한 공가도 활용할 수 있도록 유관 기관 이주 협의체를 구성하고, 연말까지 이주 대책을 포함한 세부 추진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이번 재건축으로 공급되는 주택은 기존 임대주택보다 더 넓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고 분양과 민간이 혼합된 `소셜 믹스`를 적용할 계획이다. 입주 대상도 현재 소득분위 1~2분위에서 행복주택 입주 자격인 1~6분위까지 확대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노후 공공임대주택 재건축사업은 현재 공공임대주택의 노후도를 감안할 때 앞으로 지속적으로 추진할 사업"이라며 "공공주택사업자는 사명감을 갖고 차질 없이 이주 대책을 마련하고 조기에 사업 착공이 가능하도록 추진하기를 바란다"라고 강조했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