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시작페이지로
Toronto
+16...+20° C
로그인 회원가입 회원찾기 미니홈업체
회원로그인 회원로그인
정치
1,505
IT.과학
518
사회
684
경제
2,994
세계
328
생활.문화
301
연예가소식
789
전문가칼럼
453
HOT뉴스
3,368
더보기
현재접속자
MissyCanada   캐나다 뉴스   HOT뉴스   상세보기  
캐나다의 생생정보 뉴스 섹션입니다.

신고하기
제목  노벨 의학상, 인간 면역 체계 연구 공로로 3명의 과학자에게 수여 2025-10-06 11:02:43
작성인
  root 카카오톡 공유버튼
조회 : 50   추천: 3
Email
 

자가면역 질환 예방의 핵심 메커니즘 규명…면역학 연구 새 장 열어


 

2025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이 인간 면역 체계가 자기 몸을 공격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원리를 규명한 세 명의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스톡홀름의 카롤린스카 연구소 노벨위원회는 6일(현지시간)

메리 E. 브런코(64·미국 시스템생물학연구소), 프레드 램스델(64·소노마 바이오테라퓨틱스), 시몬 사카구치(74·일본 오사카대)를 수상자로 발표했다.

 

위원회는 “이들의 발견은 면역 체계가 어떻게 균형을 유지하며 자가면역 질환을 방지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 전환점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면역 관용’의 비밀 밝혀내

면역 체계는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등 외부 침입자를 공격하지만, 때때로 자기 세포를 적으로 인식해 공격하는 오류를 일으킨다.

브런코, 램스델, 사카구치는 이러한 오류를 막는 ‘말초 면역 관용(peripheral immune tolerance)’의 핵심 원리를 규명했다.

 

1995년, 사카구치는 자가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새로운 유형의 T세포인 조절 T세포(T-reg)를 처음 발견했다.

이후 2001년, 브런코와 램스델은 Foxp3 유전자 변이가 인간 자가면역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사카구치는 2003년, Foxp3 유전자가 T-reg의 발달과 기능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즉, Foxp3 유전자가 면역 체계의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새로운 치료 가능성 열어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마리 바렌-헬레니우스 교수는 “이번 연구는 면역학의 새로운 분야를 열었고, 조절 T세포를 활용한 자가면역 질환 및 암 치료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존스홉킨스대 조나단 슈넥 박사는 “이 연구는 우리 몸이 외부 세포와 자기 세포를 어떻게 구별하는지에 대한 근본적 이해를 바꿔놓았다”며 “아직 임상적 치료로 완전히 연결되진 않았지만, 미래 치료의 길을 연 획기적 성과”라고 말했다.

 

수상자들의 반응

노벨위원회는 수상자들에게 전화를 통해 수상 소식을 전했다.

사카구치 박사는 “기쁜 놀라움”이라며 “더 많은 연구가 환자 치료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과학은 점진적으로 발전한다. 언젠가 암은 두려운 병이 아니라 치료 가능한 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브런코 박사는 스웨덴 발신 전화가 걸려오자 “스팸 전화인 줄 알고 받지 않았다”고 웃으며 말했다.

그녀의 남편은 “결국 기자를 통해 소식을 들었을 때, 메리는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다.

 

상금 및 시상식 일정

세 수상자는 1,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20만 달러)의 상금을 나누어 받게 된다.

노벨 시상식은 노벨의 기일인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릴 예정이다.

 

 

*City뉴스 글을 번역,편집한 것입니다.

추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