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캐나다를 떠나는 사람들이 역대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는 새로운 통계가 나왔다.
캐나다 통계청(StatCan)에 따르면, 2025년 1분기(1~3월) 동안 총 27,086명의 시민권자와 영주권자가 캐나다를 떠났다. 이는 2017년 같은 기간(27,115명) 이후 두 번째로 높은 1분기 수치이다.
이는 2024년 1분기(26,293명) 대비 약 3% 증가한 수치이며, 캐나다 이민자 유출 추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같은 기간 캐나다로 귀국한 시민권자 및 영주권자는 9,676명으로, 작년 1분기(9,393명)보다 소폭 증가했다.
비영주권자 유출은 급증 특히 취업 및 유학 허가 소지자 등 비영주권자의 캐나다 이탈은 더욱 두드러졌다.
2025년 1분기에는 총 209,400명의 비영주권자가 캐나다를 떠났으며, 이는 전년 동기(135,360명) 대비 무려 54% 증가한 수치이다.
이는 자유당 정부가 외국인 유학생 및 임시 근로자 수를 축소하겠다고 밝힌 시점과 맞물려 주목된다.
"3분기에 더 많은 유출 예상" 통계청은 이러한 추세가 올해 3분기에 정점에 이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예년 데이터를 보면, 해외 이주는 일반적으로 3분기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4분기에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민자는 왜 떠나는가? 이 같은 인구 유출은 갑작스러운 현상이 아니다. 통계청은 1950년대부터 이민자 이탈 추세를 추적해왔으며, 특히 2017년 이후 이탈자가 꾸준히 증가해 왔다고 밝혔다.
StatCan의 2024년 연구에 따르면, 많은 이민자들은 캐나다 도착 후 3~7년 내에 다른 나라로 이주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녀가 없는 사람, 65세 이상 고령자, 기업가 및 투자자의 유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돌봄 제공자나 난민으로 입국한 이민자는 상대적으로 잔류율이 높았다.
교육 수준과 출신 국가도 주요 변수 이민자들의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캐나다를 떠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출신 국가도 영향을 미쳤다.
통계청은 다음과 같이 밝혔다: "대만, 미국, 프랑스, 홍콩, 레바논 출신 이민자는 재이주 가능성이 높은 반면, 필리핀, 베트남, 스리랑카, 자메이카 출신 이민자는 캐나다에 남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로 Daily Hive는 이탈리아, 포르투갈,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멕시코로 이주한 캐나다인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은 현상을 입증했다.
*데일리하이브의 글을 번역,편집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