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 세계 영양·보건 전문가들이 초가공 식품(UPF)의 유해성을 경고하며, 이를 공격적으로 판매하는 글로벌 식품 제조업체들을 강하게 비판했다. UPF가 비만, 만성 질환, 조기 사망과 연관돼 있음에도 업계가 이 제품들을 확장·마케팅하며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 있다는 것이다. 이 분석은 WHO와 UNICEF의 지원을 받아 국제 전문가 43명이 공동 집필한 랜싯(The Lancet) 3부작 시리즈에서 제시됐다.
■ 식품업계, ‘막대한 이익’ 기반의 UPF 확장 시리즈에 따르면 1962~2021년 식품 기업들이 주주에게 지급한 2조 9천억 달러 중 절반 이상이 UPF 제조업체에서 발생한 수익이었다. 브라질 상파울루대 카를로스 몬테이루 교수는 “UPF 소비 증가는 강력한 글로벌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다”며, 업계가 최소 가공 식품 대신 수익성 높은 초가공 제품 중심으로 전략을 재편했다고 지적했다.
미국 UNC 배리 팝킨 교수 역시 “옥수수·밀·콩 등을 ‘무색무취의 가루’로 만든 뒤 향료·첨가물로 재조합하면 이익이 두세 배까지 증가한다”며, 업계가 이를 유지하기 위해 정치적 로비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 업계 로비, 과학 교란, 정책 지연…“담배 산업의 전략과 유사” 랜싯 시리즈는 식품업계가 광범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규제를 방해하고 과학적 의심을 조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여기에는, 로비스트, 광고 회사, 연구 파트너, 패스트푸드 체인, 영양사 인플루언서 등이 포함된다.
이 네트워크는 정부 기관 침투, 연구 자금 지원을 통한 과학 왜곡, 소셜미디어 메시지를 통한 프레이밍 전략 등을 활용해 초가공 식품 규제 논의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NYU 매리언 네슬레 교수는 이러한 수법이 “1960~80년대 담배 회사의 전략을 거의 그대로 복제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UPF는 저렴하고 중독성이 강하며, 언제 어디서나 소비 가능하다는 점에서 “담배와 유사한 비즈니스 모델”이라는 설명이다.
■ 소비 패턴 변화: “전통 식단을 급속히 대체” 현재 미국 식품 진열대의 약 70%가 UPF이며, 미국 어린이는 하루 섭취 칼로리의 62%를 초가공 식품에서 얻고 있다(CDC).
브라질 상파울루대 마리아 라우라 루자다 교수는 “북미·영국·유럽 시장이 포화되면서 업계가 남미·아프리카·동유럽·중국·인도 등 신흥시장을 집중 공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 결과, 한국·중국·스페인 등 일부 국가에서는 UPF 소비가 몇 년 만에 세 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건강 위험: “92개 연구에서 만성 질환과 연관성 확인” 랜싯 시리즈에 포함된 체계적 문헌고찰에 따르면 -104개 연구 중 92개가 UPF 섭취와 만성 질환 위험 증가를 보고했다. -메타분석 결과 12가지 만성 질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확인됐다. -무작위 임상시험에서는 UPF 식단이 동일한 칼로리 구성의 최소가공 식단보다 하루 500~1,000kcal 더 섭취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몬테이루 교수는 “UPF는 사람의 ‘행복감’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된 제품”이라며, 설탕·지방·소금·향료·첨가물 조합이 과식을 유발한다고 설명했다.
■ 업계 반박: “과학적 합의 없다…규제는 과도” 그러나 국제식품음료연맹(IFBA)은 “초가공 식품 개념 자체에 과학적 합의가 없다”며 규제 확대에 반대했다.
IFBA는 “UPF 규제는 안전하고 저렴한 가공 식품 접근성을 떨어뜨릴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
■ 각국의 규제 노력…“부분적 성공” 랜싯 시리즈는 UPF 억제를 위한 다양한 국가의 정책 사례를 제시했다. 설탕 음료세(멕시코·영국 등) → 음료 소비 감소 트랜스 지방·색소·첨가물 규제 → 제조 방식 변화 어린이 대상 광고·마케팅 금지(칠레·한국·노르웨이·아일랜드 등) 앞면 경고 라벨(브라질·멕시코 등)
다만 현재 다수 국가의 경고 라벨은 설탕·지방·소금(HFSS)에 초점을 맞춰 UPF의 본질적 문제(첨가물·재조합 구조)를 완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 국제기구의 강력한 호소: “전 세계 행동 필요” WHO는 올해 UPF 연구 확대를 촉구하며, 소비 증가를 “공중 보건·형평성·환경 지속 가능성에 대한 체계적 위협” 이라고 규정했다.
UNICEF는 “정부는 기업의 이익보다 아동의 건강권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아동 보호를 위한 국제 정책 프레임워크 구축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랜싯 시리즈는 정부·유엔·학계·시민사회가 참여하는 전 지구적 연대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CTV뉴스의 글을 번역,편집한 것입니다. |
|||||||||||||||||||||||




